Event Listener(이벤트 리스너)
스프링 이벤트
스프링 이벤트는 옵저버(Observer) 패턴의 구현체로,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발생하는 특정 상태 변화나 이벤트를 다른 객체에 알리기 위해 사용된다.
ApplicationEvent
: 발생하는 모든 이벤트의 부모 클래스(커스텀 이벤트를 정의할 때 상속)ApplicationEventPublisher
: 이벤트를 발행하는 역할을 하는 인터페이스@EventListener
: 이벤트를 수신하여 처리할 메서드에 적용하는 어노테이션
이를 통해 이벤트 발행자(Publisher)와 이벤트 구독자(Listener) 간의 결합도를 낮출 수 있다.
동작 원리
스프링의 이벤트 메커니즘은 ApplicationContext
가 ApplicationEventPublisher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리스너 등록: 스프링 컨테이너가 초기화될 때,
BeanPostProcessor
가 빈으로 등록된 객체들의 모든 메서드를 스캔하여@EventListener
어노테이션이 붙은 메서드 조회리스너 정보 저장: 찾아낸 리스너 메서드와 해당 메서드가 구독할 이벤트 타입을 매핑하여
ApplicationListener
형태로 래핑한 뒤, 컨테이너 내부에 저장이벤트 발행:
publishEvent()
메서드가 호출 시, 컨테이너는 발행된 이벤트 타입과 그 하위 타입의 이벤트를 구독하기로 등록된 모든ApplicationListener
를 조회리스너 실행: 찾아낸 리스너들의 메서드를 순차적 호출
이벤트 구독 방식
기본적으로 이벤트 구독은 리스너 메서드의 파라미터 타입을 기준으로 결정
이벤트 타입의 상속 관계가 포함되어, 발행된 이벤트가 메서드 파라미터의 타입과 일치하거나 하위 타입일 경우에도 해당 메서드가 호출
추가로
@EventListener
의condition
속성에 SpEL 표현식을 지정하여, 이벤트 필드 값을 기반으로 세밀한 필터링이 가능
리스너 순서 지정
동일 이벤트를 여러 리스너가 구독할 경우, 실행 순서는 기본적으로 정의되지 않으며, @Order
애너테이션을 통해 우선순위를 지정할 수 있다.
@Component
public class SampleEventListener {
@EventListener
@Order(0) // 가장 먼저 실행
public void handleFirst(MyEvent event) {
// 선처리 로직
}
@EventListener
@Order(100) // 나중에 실행
public void handleSecond(MyEvent event) {
// 후처리 로직
}
}
비동기 처리
기본 이벤트 처리는 동기 방식으로, 이벤트 리스너 메서드는 이벤트를 발행한 호출 스레드 내에서 실행
@Async
어노테이션을 리스너 메서드에 적용하여 별도의 스레드 풀에서 비동기적으로 실행 가능비동기 처리를 통해 호출자의 응답 속도 지연을 방지하고, 이메일 발송·외부 API 연동 등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 분리 가능
비동기 실행 시 발생한 예외는 호출자에게 전파되지 않으므로, 로깅 및 별도의 예외 처리 전략 필요
예외 처리
리스너에서 예외가 발생하면, 동기 처리와 비동기 처리에 따라 다르게 동작한다.
동기 리스너
트랜잭션 내에서 실행, 예외 발생 시 트랜잭션 전체 롤백
무거운 외부 호출이나 불안정한 작업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함
비동기 리스너
@Async
적용 시 별도 스레드에서 실행, 호출자 트랜잭션에 영향 없음
예외가 호출자에게 전파되지 않아 별도의 예외 처리 전략 필요
@TransactionalEventListener
@Target({ElementType.METHOD, ElementType.ANNOTATION_TYPE})
@Retention(RetentionPolicy.RUNTIME)
@Documented
@EventListener
public @interface TransactionalEventListener {
/**
* Phase to bind the handling of an event to.
* <p>The default phase is {@link TransactionPhase#AFTER_COMMIT}.
* <p>If no transaction is in progress, the event is not processed at
* all unless {@link #fallbackExecution} has been enabled explicitly.
*/
TransactionPhase phase() default TransactionPhase.AFTER_COMMIT;
/**
* Whether the event should be handled if no transaction is running.
*/
boolean fallbackExecution() default false;
// ... other attributes ...
}
일반 @EventListener
는 트랜잭션의 성공 여부와 관계없이 이벤트를 즉시 발행하지만,@TransactionalEventListener
는 트랜잭션의 특정 시점에 맞추어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다.
AFTER_COMMIT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커밋된 후에 리스너 실행 (기본값, 가장 많이 사용)
롤백 시 실행되지 않음, 커밋 이후 보장된 상태에서 처리할 작업(외부 API, 이메일 등)에 적합
AFTER_ROLLBACK
트랜잭션이 롤백된 후에 리스너 실행
보상 트랜잭션 로직에 활용 가능
AFTER_COMPLETION
트랜잭션의 커밋/롤백 여부와 상관없이 완료된 후에 리스너 실행
커밋/롤백 여부와 상관없이 실행되므로 후처리에 적합
BEFORE_COMMIT
트랜잭션이 커밋되기 직전에 리스너 실행
예외 발생 시 전체 롤백, 가벼운 검증 로직이나 트랜잭션 내에서 처리할 작업에 적합
기본적으로 현재 진행 중인 트랜잭션이 없는 경우 이벤트를 무시하니 주의해야 한다.(없는 상황에서도 리스너를 실행해야 한다면 fallbackExecution = true
설정)
트랜잭션 흐름과 리스너 실행 시점
@TransactionalEventListener
의 실행 시점은 스프링의 트랜잭션 처리 흐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BEFORE_COMMIT
: 트랜잭션 커밋 전 콜백에서 실행(triggerBeforeCommit
)AFTER_COMMIT
: 트랜잭션 커밋 후 콜백에서 실행(triggerAfterCommit
)DB 트랜잭션은 종료되었지만, 스프링의 트랜잭션 컨텍스트는 아직 살아있는 상태
AFTER_COMPLETION
: 트랜잭션 완료 후 콜백에서 실행(triggerAfterCompletion
)
AFTER_COMMIT
주의점
AFTER_COMMIT
주의점AFTER_COMMIT
리스너가 실행되는 시점은 DB 트랜잭션은 종료되었지만, 스프링의 트랜잭션 컨텍스트는 아직 살아있는 상태로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리스너 내부에서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이 붙은 다른 서비스 메서드를 호출(기본 전파 속성Propagation.REQUIRED
가정)스프링은 아직 트랜잭션 컨텍스트가 남아있다고 판단하여 새로운 트랜잭션을 시작하지 않고 기존 컨텍스트에 참여하려고 시도
하지만 실제 DB 트랜잭션은 이미 종료되었기 때문에,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반영되지 않거나 예외 발생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Propagation.REQUIRES_NEW
를 사용하거나, @Async
를 통해 별도의 스레드에서 실행하여 완전히 새로운 트랜잭션 컨텍스트를 확보하는 방법 등이 있다.
예시 코드
사용자가 가입했을 때 이메일을 보내는 예시 코드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작성할 수 있다.
1. 이벤트 정의
public record OrderPlacedEvent(Long orderId, Long userId) {
}
2. 이벤트 발행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Service {
private final OrderRepository orderRepository;
private final ApplicationEventPublisher eventPublisher;
@Transactional
public Order placeOrder(Long userId, /* ... */) {
Order newOrder = new Order(userId, /* ... */);
Order savedOrder = orderRepository.save(newOrder);
//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커밋되면 이벤트가 발행되도록 예약
eventPublisher.publishEvent(new OrderPlacedEvent(savedOrder.getId(), userId));
return savedOrder;
}
}
3. 이벤트 리스너
@Component
@RequiredArgsConstructor
@Slf4j
public class OrderEventListener {
private final EmailService emailService; // 이메일 발송 서비스
private final StatisticsService statisticsService; // 통계 갱신 서비스
/**
* 주문 완료 이메일 발송 (별도 트랜잭션 불필요)
*/
@Async
@TransactionalEventListener(phase = TransactionPhase.AFTER_COMMIT)
public void sendOrderConfirmationEmail(OrderPlacedEvent event) {
log.info("주문 완료(ID: {}) 이메일 발송 시작", event.orderId());
emailService.sendOrderMail(event.orderId());
}
/**
* 사용자 구매 통계 갱신 (별도 트랜잭션 필수)
*/
@TransactionalEventListener(phase = TransactionPhase.AFTER_COMMIT)
@Transactional(propagation = Propagation.REQUIRES_NEW) // 새로운 트랜잭션에서 실행
public void updateUserStatistics(OrderPlacedEvent event) {
log.info("사용자(ID: {}) 구매 통계 갱신 시작", event.userId());
try {
statisticsService.updateUserPurchaseStats(event.userId());
} catch (Exception e) {
// 이 리스너의 트랜잭션만 롤백되며, 주문 트랜잭션이나 이메일 발송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
log.error("통계 갱신 중 오류 발생", e);
}
}
}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