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A
Java Persistence API의 약자로, 자바 진영의 ORM 기술 표준이다.
ORM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의 모음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구현체는 Hibernate, EclipseLink, DataNucleus 등 존재(보통 Hibernate 사용)
JPA 사용의 이점
객체 중심 개발
SQL 중심의 데이터 접근에서 벗어나 객체 중심의 개발이 가능하다.
@Entity
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 연관관계 매핑
@OneToMany(mappedBy = "member")
private List<Order> orders = new ArrayList<>();
}
SQL 쿼리에 의존하는 대신 객체지향적인 코드를 작성하여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생산성 및 유지보수성
생산성:
save()
,findById()
등 기본적인 CRUD 메서드가 기본으로 제공유지보수성: 테이블에 컬럼이 추가되거나 변경될 때, 매핑된 엔티티 클래스 중심의 수정 작업
패러다임 불일치 해결
객체지향 언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사이에는 근본적인 패러다임의 불일치를 JPA가 해결해준다.
연관관계: 외래 키(Foreign Key) 대신 객체의 참조(Reference)를 사용한 연관관계 매핑
객체 그래프 탐색: 연관된 객체를 사용할 때, JOIN 쿼리 없이 객체 그래프를 자유롭게 탐색 가능
동일성 비교: JPA는 같은 트랜잭션 내에서 조회한 동일한 로우에 대해 항상 동일한 객체 인스턴스를 반환하도록 보장 및 객체의 동등성 비교 가능
데이터베이스 독립성
JPA는 표준 인터페이스이므로, 설정 파일에서 데이터베이스 방언(Dialect)만 교체하면 애플리케이션 코드의 수정 없이 데이터베이스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성능 최적화
JPA는 단순히 SQL을 대신 생성해주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다양한 성능 최적화 기능을 제공한다.
1차 캐시
영속성 컨텍스트 내부에 존재하는 엔티티 저장소로, 트랜잭션 범위 안에서 동작
em.find()
등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서 엔티티를 처음 조회하면, 해당 엔티티의 인스턴스를 1차 캐시에 저장하고 그 인스턴스를 반환이후 같은 트랜잭션 내에서 동일한 엔티티를 다시 조회할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지 않고 1차 캐시에 있는 엔티티 인스턴스를 반환
같은 트랜잭션 내에서 조회한 엔티티의 반복 가능한 읽기(Repeatable Read)와 객체 동일성 보장
쓰기 지연 (Transactional Write-Behind)
em.persist()
와 같은 메서드가 호출되면, JPA는 해당 SQL 쿼리를 생성하여 영속성 컨텍스트 내부의 쓰기 지연 SQL 저장소에 쿼리를 저장이렇게 모아둔 쿼리들은 트랜잭션이 커밋되는 시점에
flush()
가 호출되면서 한꺼번에 데이터베이스로 전송
지연 로딩 (Lazy Loading)
연관관계가 설정된 엔티티를 조회할 때, 실제로 해당 엔티티를 사용하는 시점까지 데이터베이스 조회를 미루는 기술
데이터 조회 시 연관된 엔티티 컬렉션(
@OneToMany(fetch = FetchType.LAZY)
)은 실제 데이터가 아닌 프록시(Proxy) 객체로 초기***ToOne
-> 기본값 즉시 로딩 /***ToMany
-> 기본값 지연 로딩
이후 코드에서 실제 컬렉션에 접근하는 시점에, JPA가 조회 쿼리를 실행하여 프록시 객체를 실제 데이터로 초기화
JPA의 동작 과정
JPA는 EntityManagerFactory
와 EntityManager
를 중심으로 동작한다.
EntityManagerFactory
EntityManager
를 생성하는 팩토리데이터베이스 커넥션 풀과 같은 리소스를 관리(애플리케이션 전체에서 단 하나만 생성되어 공유)
여러 스레드가 동시에 접근해도 안전하게 공유 가능
EntityManager
실질적인 데이터베이스 작업(저장, 수정, 삭제, 조회 등)을 처리하는 객체
내부에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을 유지하면서 영속성 컨텍스트를 통해 엔티티를 관리
스프링 부트에서의 JPA 설정
과거에는 DataSource
, EntityManagerFactory
, PlatformTransactionManager
등 JPA를 사용하기 위한 여러 컴포넌트를 개발자가 직접 빈으로 등록해야 했다.
DataSource
: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정보를 담고 있는 객체JpaVendorAdapter
: 사용할 JPA 구현체(예: Hibernate)에 대한 세부 설정을 담는 객체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DataSource
와JpaVendorAdapter
정보를 조합하여EntityManagerFactory
를 생성하는 객체JpaTransactionManager
: JPA의 트랜잭션을 스프링의 트랜잭션 관리 체계(@Transactional
)와 연동시켜주는 객체
@Configuration
public class JpaConfig {
// 어떤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것인지 설정
@Bean
public DataSource dataSource() {
DriverManagerDataSource dataSource = new DriverManagerDataSource();
dataSource.setDriverClassName("com.mysql.cj.jdbc.Driver");
dataSource.setUrl("jdbc:mysql://localhost:3306/jpa_basic?serverTimezone=UTC");
dataSource.setUsername("root");
dataSource.setPassword("password");
return dataSource;
}
// JPA 구현체 설정
@Bean
public JpaVendorAdapter jpaVendorAdapter(JpaProperties jpaProperties) {
HibernateJpaVendorAdapter jpaVendorAdapter = new HibernateJpaVendorAdapter();
jpaVendorAdapter.setShowSql(jpaProperties.isShowSql());
jpaVendorAdapter.setGenerateDdl(jpaProperties.isGenerateDdl());
jpaVendorAdapter.setDatabasePlatform(jpaProperties.getDatabasePlatform());
return jpaVendorAdapter;
}
// Entity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해주는 EntityManagerFactory 설정
@Bean
public 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entityManagerFactory(DataSource dataSource,
JpaVendorAdapter jpaVendorAdapter, JpaProperties jpaProperties) {
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entityManagerFactoryBean = new 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entityManagerFactoryBean.setDataSource(dataSource);
entityManagerFactoryBean.setPackagesToScan("com.example.jpa_basic.domain");
entityManagerFactoryBean.setJpaVendorAdapter(jpaVendorAdapter);
Properties jpaProperties = new Properties();
jpaProperties.putAll(jpaProperties.getProperties());
entityManagerFactoryBean.setJpaProperties(jpaProperties);
return entityManagerFactoryBean;
}
// Transaction을 관리해주는 TransactionManager 설정
@Bean
public PlatformTransactionManager transactionManager(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entityManagerFactory) {
JpaTransactionManager transactionManager = new JpaTransactionManager();
transactionManager.setEntityManagerFactory(entityManagerFactory.getObject());
return transactionManager;
}
}
스프링 부트의 JPA 자동 설정
하지만 오늘날 스프링 부트 환경에서는 두 가지 설정만으로 JPA를 바로 사용할 수 있다.
spring-boot-starter-data-jpa
의존성 추가application.properties
(또는.yml
) 파일에 데이터베이스 접속 정보와 기본적인 JPA 옵션 명시
참고자료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